포스텍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입시 후기(전공 시험 문제, 면접, 랩 컨택 정보)

2024. 12. 6. 12:01대학원

728x90

2025년 봄학기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 후기를 공유드립니다.

AI관련 대학원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을 응원하며, 이 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일단, 저는 랩 인턴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 합격한 케이스입니다.

자대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고 있다가 뒤늦게 SPK 대학원 준비를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4학년 여름방학 때 부터 컨택을 하기 시작하여 여러 교수님들께 연락을 돌린 결과 두 분과 연락이 닿았으나, 실질적인 인턴은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다른 대학원 준비 글이나 연구실 공지들을 보면 랩 인턴이 필수라고 되어있어 걱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입시에서 본인의 강점을 잘 드러낸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거라고 호언장담 합니다.

 

거두절미하고, 포스텍의 입시 과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포스텍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과정으로 나누어집니다.

  1. 대학원 입학
  2. 랩 컨택

대학원 입학은 다음과 같은 세부 과정으로 나누어집니다.

  1. 원서 작성 (자기소개서 및 연구계획서, 연구실적물 목록)
  2. 서류 합격시, 입시 시험과 면접 진행

랩 컨택은 다음과 같은 세부 과정으로 나누어집니다.

  1. 2주의 시간이 주어지며, 2주 안에 지도 교수님을 선정하지 못하면 최종 불합격입니다. (ㅠㅠ)
  2. 한 번에 한 교수님에게만 연락이 가능하며, 동시에 여러 교수님에게 연락은 금지 입니다.
  3. 지도 교수님과 얘기가 잘 된다면, 학과 행정팀에 지도교수 선정 결과를 회신합니다.

 

카이스트 AI대학원은 (석박 통합) + (지도교수가 미리 정해지지 않으면) 서류 탈락이라는 말도 있습니다만, 포스텍은 랩 인턴 경험이 그렇게 중요한 것 같지는 않아보입니다.

저는 원서 지원 한달 전에 컨택(인턴 x)한 연구실에 최종 합격하였습니다.

 


[스펙]

  •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학 (4.18/4.5, 석차 10/287)
  • 토익 800점 초반
  • 네트워크관련 랩실에서 학부연구 2년 6개월, 논문 3편
    • 해외 저널(SCIE) 1저자 1편 게재
    • 해외 저널(SCIE) 2저자 1편 리뷰중
    • 해외 학회 1저자 1편 게재
  • 수상 경력

[일정]

1. 원서 접수

~ 2024.09.24

 

작성해야 하는 서류:

  1. 자기소개서 및 연구계획서
  2. 연구실적물 목록

자기소개서는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적절하게 서술해나가시면 됩니다.

 

자유로운 분량으로, 성공적인 삶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자아실현과 공동체기여라는 두 측면에서 기술하고, 지원자가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에서의 학위과정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기술하시오. 특히 지원자가 지금까지 어떠한 노력을 해 왔으며 앞으로 어떠한 노력을 할 것인지를 중심으로 작성하시오.

 

처음 봤을 때는 어떻게 써야할지 막막함이 앞섰는데, 붙고나서 보니까 쉽게 정리가 되더라구요.

본인이 생각하는 성공적인 삶이 무엇인지 서술하고, 그 삶을 위해서 어떤 인생(프로젝트, 연구, 봉사 등)을 살아왔는지 서술하면 됩니다. 질문에는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에서의 학위과정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쓰라고 되어있는데, 속뜻은 왜 굳이 포항공과대학교에 지원했는지를 합리적으로 잘 작성하라는 의미입니다.

 

연구실적물 목록은 본인이 작성하거나 참여했던 논문 실적을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2. 전공 시험 및 면접

2.1. 전공 시험 과목 신청

서류에 합격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이 예비 합격 이메일을 받게 됩니다. 

서류전형 합격 메일

 

이제 어떤 과목에 응시할 지 정하는 시간인데요, 이틀 동안 어떤 과목이 나에게 유리할 지 생각해보고 회신하면 됩니다.

저는 알고리즘, 기초수학을 선택했습니다.

 

2.2. 전공 시험 범위

각 과목은 이 링크에 나와있는 책으로 공부했습니다.

범위는 다음과 같이 공부했습니다.

  1. 알고리즘: 전 범위 공부
  2. 기초수학: 링크에 나와있는 대로 Part1만 공부

서류 합격 결과가 나오는 날과 전공 시험 보는 날이 7일 밖에 차이가 안나기 때문에 시간이 촉박합니다.

저는 그것도 모르고 서류 결과 나올 때 까지 놀다가 전공 시험 준비 + 학부 시험 준비 + 논문 리뷰가 겹쳐서 죽는 줄 알았습니다.

웬만하면 서류 제출 후 바로 공부하시는게 편하실 듯 합니다.

이미 알고리즘과 선형대수학, Convex Optimization 등의 ML관련 수학을 공부해두신 분들은 각 챕터의 연습문제를 풀 정도로 준비하시고, 기억이 안나시는 분은 한 달 정도 여유롭게 준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2.3. 전공 시험 응시 방법

시험은 독특한 방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각 과목마다 시간이 주어지는게 아니라 주어진 시간 (2시간) 동안 시간을 잘 분배하여 두개의 시험을 응시하시면 됩니다.

응시 과목 순서는 정해져있지 않고 자유롭게 응시하시면 됩니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험표 (출력해가거나 현장에서 홈페이지 들어가서 보여드리기. 저는 출력해갔습니다.)
  2. 신분증
  3. 필기구 (연필/샤프 가능)

저는 입실 완료 시간보다 1시간 정도 일찍 갔는데요, 한 번 입실하면 끝날 때 까지 퇴실 금지입니다. 전화하거나 짐을 가져오실 분은 미리 해결하시고 들어가야 합니다.

2.4. 전공 시험 내용

과목 마다 5개의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또한, 모든 문제는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실제 시험문제는 공개하기가 부담스러워서 포스팅에는 각 문제의 개념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문제를 받아보고 싶으신 분은 댓글을 남기거나 이메일을 보내주시면 빠르게 보내드리겠습니다!

1. 알고리즘

  1. (증명) quick sort의 시간 복잡도
  2. (문제 풀이) KMP 알고리즘
  3. (증명) worst case의 lower bound 증명
  4. (증명) prim알고리즘
  5. (설명) class np, np-complentess

2. 기초수학

  1. (문제풀이) span과 dimension사이의 관계
  2. (증명) 이항분포
  3. (증명) rotation matrix
  4. (증명) 고윳값, 고유벡터
  5. (증명) convexity

2.5. 종합 면접

전공 시험이 끝나면 종합 면접을 보게 됩니다. 

강의실 화면에 본인의 순서와 면접 시간이 나와있는데, 순서는 앉은 자리 순입니다. 앞사람이 한 명씩 면접을 보러갈 때 마다 긴장이 배가된 것 같습니다.

 

면접 전에는 몰랐는데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오전반은 면접후 전공시험을 보고, 오후반은 반대입니다.

 

종합 면접은 정보가 많이 없어서 전공 면접인지 인성 면접인지 모르겠어서 걱정이 많았는데, 결과적으로는 인성 면접이었습니다.

 

면접 시간은 8분이고, 분위기는 교수님들께서 편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셨습니다. 대답할 때 마다 웃어주셨던 것 같습니다.

면접 질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1분 자기소개 해주세요.
  • 왜 POSTECH에 지원했나요?
  • 대학원에 가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학부시절 가장 재미있게 들었던 과목이 무엇인가요?
  • 좌우명이 무엇인가요?
  • 장래 계획이 어떻게 되나요?

폭풍같은 질문과 대답이 지나가고, 8분이 30초처럼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본인 면접이 끝나면, 다른 사람들을 기다릴 필요 없이 퇴실하시면 됩니다.

3. 랩 컨택

예비 합격 메일

전공 시험과 면접 까지 잘 헤쳐나가셨으면, 이러한 예비 합격 이메일을 받게 됩니다.

3.1. 예비합격자 전공 탐색 과정

POSTECH은 예비 합격자들에게 전공 탐색 과정을 제공합니다.

연구실에 직접 가서 교수님과 연구실 환경도 구경하고 면담도 가능합니다.

저는 학부 시험 일정과 겹쳐서.. 못 갔습니다.

3.2. 지도교수 선정

새로운 면접의 시작입니다.

저는 POSTECH 지원 전에 연락 드린 교수님께 석사를 지원하고 싶다는 이메일을 보내드렸습니다.

 

대학원 입시를 통과한 것을 축하한다고 하시며, 면담 일정을 잡자고 하셨습니다.

교수님과 면담 후 교수님의 답변을 기다리며 마음을 졸이고 있었는데..!

 

다행히 석사 과정으로 선발되었습니다!!

3.3. 지도교수 선정 메일 회신

지도교수님과 얘기가 잘 끝나면, 학사팀에 지도교수님 성함과 제 이름을 보내면 최종 합격이 됩니다.

 

[후기]

POSTECH에 지원하는 마지막 까지도 자대 랩실에서 편하게 공부할지 새로운 도전을 해볼 지 고민을 했던 것 같습니다.

입시 준비하는 동안 힘든 일도 많았지만 합격증을 받고 나니 모든 것을 보상받는 기분이네요.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모든 분들도 힘들고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오겠지만 끝까지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합격증

 

728x90